본문 바로가기
  • 가상화폐, 코인이 궁금해
  • 가상화폐는 언제 어떻게 시작됐는지 궁금해
카테고리 없음

가상자산 해킹 실태 및 각국의 대응 방안은?

by 오늘도... 2025. 3. 15.

최근 몇 년간 가상자산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해커들의 주요 범죄 타깃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들어 북한 해커 그룹 '라자루스'를 비롯한 중국 해커 조직 'APT41' ,러시아 사이버 범죄 조직 '클리퍼'  등이 대규모 가상자산 해킹을 통해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피해를 발생시킨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가상자산 보안 사진

1. 2025 가상자산 해킹 실태 

2025년 1분기 동안 발생한 가상자산 해킹 피해액은 총 18억 달러로 우리 돈 약 2조 4천억 원에 달합니다. 이는 지난해 동기간 대비 65% 증가한 수치로 해킹 수법 또한 더욱 정교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2025년 최신 해킹 사건 현황

  • 크로스체인 브릿지 '스펙트럼 브리지(Spectrum Bridge)' 해킹( 피해액 7억 5천만 달러 )
  • 솔라나(Solana) 기반 디파이 플랫폼 'Solend' 해킹( 피해액 3억 2천만 달러)
  •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 노드 공격 (피해액 1억 달러)
  • 한국, 업비트(Upbit) 핫월렛 공격 (피해액 8천만 달러)

특히 이중에서도 북한 라자루스 그룹은 미국 및 유럽 금융 기관을 대상으로 한 '피싱 공격'을 통해 대규모 비트코인 탈취에 성공했고, 러시아 클리퍼 조직은 크립토 브리지의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을 이용하여 5억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을 빼돌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 전 세계 각국의 가상자산 해킹 대응 전략

✅ 미국: 암호화폐 보안 전담팀 출범

미국 법무부는 2025년 2월 '블록체인 인텔리전스 네트워크'를 출범시켜,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및 다크웹 추적을 강화했습니다. FBI 및 NSA와 협력해 해킹 자금 세탁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주요 거래소와 협업하여 의심 거래를 즉각 차단하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 유럽연합(EU): '디지털 자산 보안법' 도입

유럽연합은 2025년 4월, '디지털 자산 보안법'을 도입하여, 디파이 플랫폼 및 NFT 거래소에도 자금세탁방지 및 고객신원확인 규정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 보안 기업 '체이널리시스'와 협력해 해킹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글로벌 자금세탁 네트워크를 차단하고 있습니다.

✅ 한국: '블록체인 추적 시스템 S2F 2.0' 개발

한국 정부는 2025년 3월, '가상자산 범죄 대응 합동 수사팀'을 확대 개편하고, 블록체인 추적 시스템 'S2F 2.0'을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 주요 거래소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거래소 보안 및 핫월렛 해킹 대응 역량을 대폭 향상했습니다.

 

3. 가상자산 해킹 예방을 위한 최신 보안 기술

✅ 블록체인 보안 솔루션

  • 체이널리시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및 자금 흐름 추적하는 기술입니다. 
  • 엘립틱: 암호화폐 트랜잭션 감시 및 실시간 해킹을 탐지합니다. 
  • 사이퍼트레이스: 다크웹 거래 추적 및 범죄자를 식별합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감사

  • Quantstamp: 디파이 플랫폼 보안 감사 및 코드 취약점을 분석하는 기술
  • MythX: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검사 도구
  • Slither: Solidity 코드 정적 분석 및 버그 탐지 기술

✅ 사용자 개인 보안 강화

  • 하드웨어 지갑 사용 권장
  • 2단계 인증 및 멀티 시그니쳐(Multi-Signature) 활성화
  • VPN 및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거래 권장

 

2025년은 가상자산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함께 해킹 피해도 급증한 한 해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 가상 자산의 보안에 완벽한 방어는 없다고 합니다. 다만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에 미국, 유럽, 한국 등 주요 국가들이 블록체인 분석 기술과 규제 강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해커들의 자금 세탁 경로 차단 및 피해 복구 사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향후 가상자산 시장의 지속 및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글로벌 보안 협력체계 구축, 디파이 플랫폼의 코드 보안 강화, 그리고 사용자 보안 인식 향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