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보고에 따르면 북한이 보유한 비트코인(BTC) 양이 세계 3위 수준에 이른다고 합니다.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가 보유한 비트코인은 약 11억 4000만 달러로 한화 약 1조 6500억 원의 규모입니다. 이것은 미국과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보유양입니다. 특히 북한은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을 통해 이러한 막대한 비트코인을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제 사회의 제재를 우회하고 불법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늘은 북한의 비트코인 보유 과정과 해킹 의혹, 그리고 현 상황 등을 분석해 봅니다.
북한의 비트코인 보유 과정: 어떻게 3위가 되었나?
북한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게 된 배경에는 조직적인 해킹 공격이 있다는 관점이 대다수입니다.
북한의 해킹 조직인 '라자루스(Lazarus)'는 2017년부터 전 세계 금융기관과 암호화폐 거래소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수행해 왔습니다. 특히 암호화폐의 익명성을 이용해 제재를 피하고 외화 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북한의 전략으로 보입니다.
최근 북한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급증한 것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해킹 사건 때문입니다. 북한은 이 사건을 통해 15억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을 탈취한 뒤, 이를 비트코인으로 변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에도 쿠코인, 액시 인피니티 해킹을 통해 막대한 암호화폐를 탈취한 전력이 있기도 했습니다.
북한이 비트코인을 많이 보유하게 된 또 다른 이유는 국가 차원의 전략적 활용으로 봅니다.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지정한 엘살바도르나 수력 발전을 이용해 자체적으로 비트코인을 채굴한 부탄과 달리, 북한은 국가 전략의 하나로 해킹을 통한 비트코인을 확보하는 것이 주된 방법인 것입니다.
해킹과 자금 세탁, 북한의 암호화폐 활용 방식
북한은 단순히 암호화폐를 보유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이를 현금화하고 핵무기 개발 자금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1. 해킹 후 자금 세탁
- 북한은 탈취한 암호화폐를 여러 지갑으로 분산해 추적을 어렵게 만든다.
- 믹서(mixer) 또는 블렌더(blender) 서비스를 사용해 암호화폐를 섞어 원래 출처를 숨긴다.
- 이를 통해 비트코인을 현금화하거나, 다른 국가 및 조직과 거래하는 방식으로 활용한다.
2. 국제 제재 회피
- 북한은 UN 및 미국의 강력한 경제 제재를 받고 있어 국제 금융망에 접근할 수 없다.
- 하지만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된 특성 덕분에 북한이 기존 금융 시스템을 우회해 자금을 조달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3. 핵무기 및 군사 개발 자금 확보
- 미국 정부와 UN은 북한이 사이버 범죄를 통해 획득한 암호화폐를 핵 개발 및 미사일 프로그램 자금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 2022년 UN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암호화폐 해킹 수익 중 상당 부분이 군사 연구 및 개발로 흘러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행위는 국제 사회에서 강력한 제재 대상으로 분류되며,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북한의 해커 조직과 연계된 암호화폐 계좌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비트코인 보유 현황과 국제 사회의 대응
현재 북한이 보유한 비트코인은 약 1만 3562 BTC(11억 4000만 달러 상당)로, 미국(19만 8109 BTC), 영국(6만 1245 BTC)에 이어 세계 3위입니다. 하지만 이 자산이 실제로 북한의 경제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는 불확실한 상태입니다.
북한이 직면한 문제점
1. 비트코인을 현금화하는 것이 어려움
- UN과 각국 정부가 북한 관련 암호화폐 계좌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어, 북한이 이를 현금화하는 과정에서 차단될 가능성이 크다.
- 과거에도 북한은 해킹으로 확보한 자금을 현금화하는 과정에서 국제 금융 당국의 감시를 받아 실패한 사례가 있다.
2. 국제 사회의 강력한 대응
- 미국과 한국을 포함한 국제 사회는 북한의 사이버 범죄를 막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 특히 미국 재무부는 북한 해킹 조직과 연계된 암호화폐 지갑을 제재 리스트에 올리고, 이를 활용한 거래를 차단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3. 암호화폐 시장의 변화
-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시장이 성숙하면서, 거래소들은 KYC(고객 신원 인증) 및 AML(자금세탁방지)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 이는 북한이 해킹한 암호화폐를 현금화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을 주는 요소가 될 것이다.
결론: 북한의 비트코인 보유, 지속 가능한 전략일까?
북한이 세계 3위의 비트코인 보유국이 된 것은 단순한 우연이 아닙니다. 조직적인 해킹을 통해 암호화폐를 확보하고, 이를 국가 자금 조달에 활용하는 전략을 펼쳐왔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국제 사회의 감시와 제재가 강력해지고 있어, 북한이 이 비트코인을 쉽게 현금화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비트코인의 가치는 여전히 높고, 익명성을 활용한 금융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북한이 향후에도 암호화폐를 주요 외화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국제 사회의 압박이 더욱 강화될 경우, 북한이 기존처럼 암호화폐를 이용한 불법 금융 활동을 지속하기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이에 앞으로 북한의 비트코인 활용 방식과 국제 사회의 대응을 지속적으로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