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가상화폐, 코인이 궁금해
  • 가상화폐는 언제 어떻게 시작됐는지 궁금해
카테고리 없음

비트코인 급락, 1억 2000만원 붕괴...'검은 월요일'

by 오늘도... 2025. 4. 7.

2025년 4월 7일, 비트코인 가격이 국내외 시장에서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검은 월요일'이라고 불리게 된 오늘, 비트코인은 1억 2000만 원 선이 무너지면서 미국 대선 이후 상승세를 모두 반납한 상황입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강화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1억 2000만 원이 붕괴된 비트코인의 급락 배경, 알트코인 시장 영향 및 향후 전망을 상세히 분석해 봅니다. 

 

비트코인 사진

트럼프 관세 전쟁 여파, 비트코인 급락 가속화

2025년 4월 7일, 비트코인 가격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기준 1억 1125만 2000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이는 하루 동안 4.2% 하락한 수치이며, 전 거래일 대비 9% 이상 급락한 결과입니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직후 수준으로 되돌아갔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도 비트코인 가격은 7만 4000달러 선까지 밀려나며,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졌던 8만 달러를 이탈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강력한 상호관세 부과 정책이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인터뷰를 통해 "대상국들은 오랫동안 나쁜 행동을 해왔으며, 이는 단기간 내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고 언급해 시장 기대를 꺾었습니다. 기존에는 관세 부과가 유예되거나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발언 이후 기대는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코빗 리서치 김민승 센터장은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두드러지고 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기존에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였던 비트코인마저 관세 여파를 피해 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비트코인의 올해 1분기 수익률은 -11.7%로, 2015년 이후 10년 만에 최악을 기록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디지털 자산이 주식시장 대비 일정 부분 저항력을 보였지만, 결국 대규모 매도 압력을 버티지 못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알트코인 시장, 비트코인보다 더 큰 충격

비트코인 가격 급락의 여파는 알트코인 시장에 더 크게 미쳤습니다.

대표적인 알트코인인 이더리움(ETH)은 하루 만에 14.5%나 하락하며 228만 8000원 선에서 거래되었습니다. 엑스알피(XRP, 구 리플)도 18.8% 급락하여 2595원에 거래되며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7일 오전 6시 10분 기준 글로벌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4.88% 하락한 7만 8983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더리움은 11.07% 급락해 1587달러까지 내려갔으며, 리플은 8.51% 하락한 1.94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특히 리플은 장중 최고가 2.16달러에서 최저가 1.94달러 사이를 오가며 높은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이는 시장의 불안정성이 알트코인에 더욱 가혹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은 CBS 뉴스 인터뷰를 통해 "9일부터 예정대로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이는 며칠 또는 몇 주간 유지될 것"이라고 확약했습니다. 시장에서는 관세 부과가 연기될 수 있다는 희망도 있었지만, 러트닉 장관의 확언으로 인해 기대감은 사라지고 매도세가 더욱 심화됐습니다.

가상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으로 글로벌 거시경제 리스크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상화폐 시장도 함께 하락하고 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암호화폐 시장은 전통 금융시장에 비해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급락 폭도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시장, 향후 전망

현재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모두 약세장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숀 맥널티 팰컨엑스 아시아·태평양지역 책임자는 "풋옵션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매도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글로벌 거시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장기적으로는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은 전통 자산과 달리 탈중앙화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장기 보유자 중심으로 다시 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시장 진입이 확대된 점도 하락장을 제한하는 요인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특히 미국의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기관들의 비트코인 투자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점은 장기적으로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향후 주요 변수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 글로벌 거시경제 지표, 그리고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정책 여부가 꼽히고 있습니다. 만약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심화되면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회피 수요가 다시 늘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리스크 관리에 유의해야 하며, 철저한 포트폴리오 분산과 리스크 헤징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시장은 현재 트럼프발 관세 전쟁 여파로 급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디지털 자산의 회복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냉정한 분석과 전략적인 투자가 요구됩니다. 이에 최근 급변하는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해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